부자가 되기 위해 한 일 3가지
1. LG전자 매출실적을 정리해보았다.
2. 엣시에 가입했다.
3. 크리에이티브 마켓, 재즐, 레드버블, 헝그리제이페그, 쇼피파이 라는 플랫폼들을 알았다. (다음에 할 일: 가입하기)
주관적인 금융 Pick
어제 LG화학의 컨퍼런스 콜을 보며, LG전자의 매출 실적과 3분기 전망도 알고싶다는 생각이 들어 찾아보았다.
LG전자 2분기 컨퍼런스콜
2분기 영업이익은 1조 1127억원.
H&A본부 (Home Appliance & Air Solution)
매출 6조 8149억, 영업이익 6536억원.
HE본부 (Hone Entertainment)
매출 4조 426억원, 영업이익 3335억원. 3년간 연간 수익률 8~10%로 높다. 프리미엄 및 신가전 제품 확대, 위생, 건강관리 가전 강화로 이런 성과 달성. (LCD TV 패널 가격의 지속 상승에도 불구하고)
MC (전 스마트폰..)
특허 자산 활용한 새로운 사업 모델 검토 중. 다양한 수익화 방안 구체화되는 시점에 시장과 적극 소통.
2만 4000개 정도의 4g, 5g 통신표준 특허를 보유하고 있어 스마트 가전, loT 기반 신제품 개발에 적극 활용 예정. 전장사업과 차량용 커넥티비티 핵심 기술로 활용될 수 있기 떄문에 인포테인먼트 제품 개발에 활용 예정.
VS본부 (Vehicle Component Solutions)
글로벌 완성차 업체 수요 회복에 따른 주요 프로젝트 물량 증가 및 전기차 부품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 동기 대비 성장. 그러나 반도체 수급 영향에 따른 일시적 비용 증가로 전 분기 대비 악화.
BS본부(Business Solutions)
2분기 대화면 모니터, 게이밍 모니터 등 하이엔드 모니터와 인포메이션 디스플레이 제품 수요의 점진적 회복으로 전년 동기 대비 성장했다. 그러나 영업이익은 LDC 패널, 태양관 웨이퍼 등 주요 부품 가격 상승 등 영향으로 전 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수익성이 감소했다.
3분기 전망
H&A
원자재 가격 인상, 물류비 증가 등 원가 상승 부담 지속. 그래도 비용 절감 및 운영 최적화 활동을 병행해 전년 동기 수준 영업이익 규모를 달성하도록 역량 집중예정
H&E
3분기는 코로나 19 백신 보급 확대로 홈 엔터테인먼트 관련 제품 수요는 정체가 예상되나, 프리미엄 제품군 수요는 지속 증가 전망. 지속적 패널 가격 상승으로 원가 부담 예상되지만 하드웨어 제품 측면에선 최상위 라인업인 OLED TV를 필두로 하이엔드 브랜드 이미지를 공고히 하고 이후 출시되는 QNED(미니 LED)TV를 통해 대형 프리미엄 시장을 적극 공략하고 나노셀 매출 확대를 통해 수익성 기반의 질적 성장 추진.
V&S
차량용 반도체 공급 부족 리스크는 상당 기간 지속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주요 반도체 생산업체 대응이 본격화하면서 하반기에는 서서히 공급 안정화 단계에 진입할 것으로 예상.
B&S
B2B제품 시장 수요 회복으로 매출은 전 분기 및 전년 동기 대비 성장이 예상되나, 주요 부품 가격 인상 지속 영향으로 수익성 개선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 이에 적극적인 원가 절감 확동으로 수익성 확보에 치중.
2021년 하반기와 2022년 LCD, OLED TV수익성 전망
TV수요는 2021년 하반기는 상반기와 동일하게 OLED 및 LCD TV중 프리미엄 제품 나노셀, 초대형 TV 매출 비중 확대로 안정적인 수익성은 지속 유지될 것이라고 전망한다. 2022년에는 전체 TV수요는 감소할 것이라 예상하지만 1000달러 이상 시장 수요는 지속 증가할 것이라 예상한다. (한마디로 코로나 진정되면서 수요는 감소하지만 프리미엄 TV시장의 수요는 증가할 것이라 보는구나)
참조: http://www.thelec.kr/news/articleView.html?idxno=13581
LG전자 2021년 2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 전문 - 전자부품 전문 미디어 디일렉
LG전자는 2분기에 매출 17조1139억원, 영업이익 1조1127억원을 올렸다고 29일 밝혔다. 전년 동기 대비 각각 48.4%, 65.5% 증가했다. 매출은 역대 2분기 중 최대다. 영업이익은 사상 처음 2개 분기 연속으
www.thelec.kr
매우 주관적인 결론
아..전반적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으로 인한 가격 부담이 지속되고 있다는 게 느껴진다. 그 부분을 운영 등의 최적화 활동으로 손실을 최대한 줄이는 거구. 프리미엄 가전 시장의 매출 증가만 볼 게 아니었네. 코로나 19 백신 보급으로 잘 팔리던 가전제품들 수요 하락할 것이란 전망도 있고. 근데 지금 추세로 보면, 코로나로 인한 예측은 제쳐두고 봐도 될 것 같다. (백신맞아도 변이 때문에 마스크도 못벗고 있고 놀러가는 것도 그 전과 비슷하게 제한되고 있고, (일부 유럽은 안 그렇지만.) 워낙...예측이 의미없는 부분이어서.)
원자재 가격 해결되면 영업이익 측면은 좋지 않을까 싶다. (장기적으로 봤을 때) 프리미엄 가전 시장에서 좋은 성장을 보이고 있으니까. 그러니 원자재에 대한 정보를 계속 봐야 할 듯. (+차량용 반도체도)
사족: 와 이거 되게..집 꾸미기 게임 같다. 요새 인테리어에 관심 많은데, 이렇게 미리 주변이랑 어떻게 어울릴지 보는거 좀 좋다. 조금만...편리하게 바뀌면 더 좋을듯. (색 바꿀때 뭔가 번거로운 기분)
https://www.lge.co.kr/lg-objet-collection/space-experience
LG Objet Collection | LG전자
www.lge.co.kr
'금융 정보 > 매일 부자가 되는 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Day6_오늘의 부자 일지: 원,달러 환율 하락, 기준 금리 인상여부, LG화학 급락 고민, LG전자는왜... (0) | 2021.08.25 |
---|---|
Day5_오늘의 부자 일지: 포트폴리오리밸런싱, 엣시 셀러 등록 정책 변경(한국이 없음) (2) | 2021.08.24 |
Day4_오늘의 부자 일지: LG 배터리 리콜과 주가 급락/ 키움 영웅문S 외국인 매매동향 보는법/ 일본 양적완화와 미국의 지지(추정) (0) | 2021.08.23 |
Day2_오늘의 부자 일지: 210820 미국/한국 주식 현재가, LG화학 컨퍼런스콜 요약, LG화학 2분기 실적, LG화학 3분기 전망 (0) | 2021.08.21 |
Day1_오늘의 부자 일지: 210820 미국 주식 현재가, 다음번 주도 산업, 카카오뱅크 (0) | 2021.08.20 |